금속이나 소재를 하나로 결합하는 기술은 제조 산업 전반에서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한 공정 중 하나다.
그 중심에는 바로 **용접(welding)**과 접합(joining) 기술이 있다.
구조물, 기계, 자동차, 항공, 선박, 건설 등 중량이 큰 부품을 견고하게 연결하거나, 전기·기밀성이 필요한 부위를 봉합하는 데 필수적인 공정이다.
이번 글에서는 산업 현장에서 널리 사용되는 주요 용접 및 접합 기술과 그 특징, 적용 분야를 정리해 소개한다.
1. 용접(Welding)이란?
용접은 두 개 이상의 재료(주로 금속)를 열 또는 압력, 혹은 이 둘을 동시에 사용하여 접합부를 융합하는 공정이다.
융해 용접, 압접, 고상 접합 등으로 분류되며, 사용 목적과 환경에 따라 다양한 방식이 적용된다.
1) 아크 용접 (Arc Welding)
전기 아크를 이용해 열을 발생시키고 금속을 용해시켜 접합하는 가장 일반적인 용접 방식이다.
대표적인 아크 용접 방식은 다음과 같다.
- SMAW (Shielded Metal Arc Welding, 피복 아크 용접): 수동 방식, 건설 구조물 등 야외용
- TIG (Tungsten Inert Gas Welding): 고정밀, 알루미늄·스테인리스 등 얇은 금속에 적합
- MIG (Metal Inert Gas Welding): 반자동 방식, 생산 속도 빠르고 조작성 우수
2) 점 용접 (Spot Welding)
금속판 두 장을 전극 사이에 두고 고전류를 순간적으로 흘려 국부적으로 융해시켜 접합하는 방식이다.
자동차 차체 조립, 가전제품 외장 접합 등에 활용된다.
3) 레이저 용접 (Laser Welding)
레이저 빔을 사용해 매우 국부적인 열로 빠르게 용접하는 방식이다.
열변형이 적고, 정밀성이 높아 전자부품, 의료기기, 정밀장비 등에서 많이 사용된다.
2. 접합(Joining)의 주요 기술
용접과 달리, 접합은 소재 자체를 녹이지 않고 외부 재료나 기계적 방법으로 연결하는 기술이다.
1) 접착제 접합
화학 접착제를 사용해 금속, 플라스틱, 유리 등을 접합한다.
열에 약하지만 가볍고 디자인 자유도가 높아 전자제품, 생활가전, 건축 내장재 등에 자주 사용된다.
2) 리벳 & 볼트 체결
가장 전통적인 기계적 접합 방식이다.
특히 탈부착이 가능한 구조물(건축 철골, 기계 조립)에 많이 사용되며,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3. 용접·접합의 산업별 적용 사례
- 자동차: 차체 프레임, 배기라인, 브라켓 용접
- 건설 & 철골 구조: 강재 빔, 기둥 연결
- 기계 & 장비: 샤프트, 프레임, 하우징 용접
- 반도체/정밀전자: 정밀 용접 및 접착 접합
- 항공 & 조선: 알루미늄, 특수 합금 부품 접합
4. 기술 선택 시 고려 요소
- 접합 강도와 구조 안전성
- 소재의 물성 및 열에 대한 민감도
- 가공 정밀도 및 생산성
- 외관 품질 및 열변형 관리
- 현장 환경(실내/실외/자동화 여부 등)
5. 마무리하며
용접과 접합 기술은 단순한 연결을 넘어 제품의 기능성과 안전성을 좌우하는 핵심 요소다.
제품의 용도와 환경, 소재 특성에 따라 적절한 공정을 선택하고 설계하는 것이 품질 경쟁력의 핵심이다.
특히 최근에는 로봇 용접, AI 기반 품질검사 등 고도화된 기술이 접목되며 생산성과 정밀도가 획기적으로 향상되고 있다.
미래 제조 산업에서도 용접과 접합 기술은 그 중심을 놓치지 않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