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바늘털이란? 고기가 바늘에서 빠지는 이유와 대처법

by 마루.T 2025. 3. 31.

 

낚시를 하다 보면 분명히 입질이 왔고 챔질까지 성공한 것 같은데, 줄을 감아보니 고기가 사라지고 바늘만 남아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럴 때 흔히 발생하는 현상이 바로 **‘바늘털이’**입니다. 고기가 바늘에 걸린 후 몸을 흔들어 바늘을 뺴내는 이 현상은 낚시인이라면 누구나 겪는 좌절의 순간 중 하나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바늘털이의 원인과 이를 예방하기 위한 방법을 소개합니다.

1. 바늘털이란?

바늘털이란 입에 걸린 바늘을 고기가 몸을 털거나 점프하거나 빠르게 헤엄치며 스스로 제거하는 행동을 말합니다.
고기 입에 바늘이 제대로 걸리지 않았거나, 릴링이나 로드 컨트롤이 적절하지 못한 경우 주로 발생합니다.

▶ 낚시 중 ‘훅!’ 하고 무게감이 빠지고, 줄이 헐렁해지는 느낌이 들면 바늘털이로 고기를 놓쳤을 가능성이 큽니다.

2. 바늘털이의 주요 원인

1) 바늘이 제대로 걸리지 않은 경우

  • 챔질이 약하거나 타이밍이 늦은 경우
  • 고기가 미끼만 물고 삼키지 않았을 때
  • 바늘이 얕게 걸려 힘을 주면 빠짐

2) 줄 텐션 유지 실패

  • 챔질 후 릴링이 늦거나 줄이 느슨해질 때
  • 낚싯대와 줄 사이에 ‘헐렁한 공간’이 생기면 고기가 틈을 이용해 빠져나감

3) 고기의 반격 행동

  • 입에 고통을 느낀 고기가 급격히 몸을 회전시키거나 점프하며 바늘을 흔듦
  • 루어낚시에서 베스, 송어 같은 어종은 물 위로 점프해 바늘을 빼내는 경우 많음

3. 어종별 바늘털이 빈도

어종바늘털이 빈도특징
붕어 보통 얕은 입질 후 챔질 실패 시 자주 발생
베스 매우 높음 점프와 턱 회전으로 바늘 제거
우럭, 광어 낮음 바늘 고정 시 잘 빠지지 않음
송어 높음 활발한 움직임, 회전력 강함

▶ 특히 베스나 송어는 챔질과 동시에 라인 텐션 유지가 중요합니다.

4. 바늘털이 방지 팁

1) 챔질 정확히 하기

  • 입질 감지 즉시 정확한 타이밍으로 챔질
  • 바늘이 고기 입 안에 깊게 박히도록
  • 너무 약하거나 너무 강한 챔질은 피해야 함

2) 줄 텐션 유지하기

  • 고기가 움직일 때 항상 줄을 ‘팽팽’하게 유지
  • 릴링을 멈추지 말고 일정 속도로 계속 감기
  • 낚싯대를 수직보다 약간 비스듬하게 유지해 유연한 충격 흡수

3) 바늘 점검하기

  • 오래된 바늘이나 무뎌진 바늘은 교체
  • 너무 큰 바늘은 걸림이 약해질 수 있음 → 어종에 맞는 바늘 사용

5. 마무리

바늘털이는 낚시 중 누구나 겪는 자연스러운 현상이지만, 충분한 준비와 연습으로 그 빈도를 줄일 수 있습니다. 챔질 후 텐션을 놓치지 않고 줄을 팽팽하게 유지하는 것만으로도 대부분의 바늘털이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오늘 소개한 원인과 예방법을 기억하고, 더 많은 손맛을 놓치지 않도록 실전에 적용해보시기 바랍니다.

 

 

함께보면 좋은글

챔질이란? 낚시의 타이밍과 성공률을 결정하는 핵심 기술